CONTENTS
- 1. 특허권 | 개념
- - 특허권 | 목적
- - 특허권 | 요건
- - 특허권 | 효력
- 2. 특허권 | 등록 절차
- - 특허권 | 출원
- - 특허권 | 심사
- - 특허권 | 설정등록
- 3. 특허권 | 특허변호사와 질의응답
1. 특허권 | 개념
🔗 특허권 🔗은 특허법에 의해 발명을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특허권 | 목적
특허권은 발명을 보호 및 장려함으로써 국가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특허권 | 요건
특허권을 받기 위해서는 충족해야 하는 요건들이 있는데요,
1. 산업상 이용가능성
특허권을 받고자 하는 출원발명은 산업에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신규성
특허권을 받고자 하는 기술을 이미 알려진 선행기술이 아니어야 합니다.
3. 진보성
특허권을 받고자 하는 기술이 선행기술이 아니더라도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생각해 낼 수는 없는 것이어야 합니다.
특허권 | 효력
특허권은 설정등록을 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하며 출원일로부터 20년의 존속기간을 가집니다.
또한 설정등록을 한 특허권은 설정등록을 한 국가 내에서만 효력이 발생합니다.
2. 특허권 | 등록 절차
특허권을 받기 위해서는 위 절차를 따르는데요,
출원 후 심사가 진행되며, 등록여부 결정이 나고, 등록 결정 시 설정등록을 한 후 등록료를 납부하면 특허권이 부여됩니다.
특허권 | 출원
특허권에서 출원은 특허권을 받기 위해 특허를 받을 권리를 가진 사람이 원서를 작성해 특허청장에게 제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허출원을 위해서는 🔗 특허출원서 🔗를 다운 받아 작성 후 특허청장에게 우편접수 또는 방문접수 하면 됩니다.
특허출원서에는 특허출원인의 성명, 주소, 발명의 명칭, 발명자의 성명, 주소를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발명의 설명과 청구범위를 적은 명세서, 발명의 요약서 및 도면을 첨부하면 됩니다.
특허권 | 심사
특허권 심사는 아래의 절차를 따르는데요,
방식심사는 출원의 주체 및 요건 등 절차의 흠결 유무를 확인합니다.
이후 출원공개를 하게 되는데,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6개월이 지났거나 특허출원인의 신청이 있으면 기술 내용을 일반인에게 공개합니다.
실체심사는 발명의 특허여부를 판단하는 심사를 합니다.
이후 특허 거절 이유가 없다면 특허결정서를 특허출원인에게 통지하는데요,
특허결정이 돼 특허권이 설정 등록되면 그 내용을 일반인에게 등록공고합니다.
특허권 | 설정등록
특허권을 받기 위한 심사를 걸처 특허결정서를 받았다면 설정등록을 해야 되는데요,
설정등록은 아래의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여기서 특허 등록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허권설정등록일부터의 연수 | 특허 등록료 |
제1년부터 제3년까지 | 매년 1만3천원에 청구범위의 1항마다 1만2천원을 가산한 금액 |
제4년부터 제6년까지 | 매년 3만6천원에 청구범위의 1항마다 2만원을 가산한 금액 |
제7년부터 제9년까지 | 매년 9만원에 청구범위의 1항마다 3만4천원을 가산한 금액 |
제10년부터 제12년까지 | 매년 21만6천원에 청구범위의 1항마다 4만9천원을 가산한 금액 |
제13년부터 제25년까지 | 매년 32만4천원에 청구범위의 1항마다 4만9천원을 가산한 금액 |
3. 특허권 | 특허변호사와 질의응답
특허권에서 발명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특허권에서의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창작을 말하는데요, 여기서 기술적 창작이란 제품, 기술 등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외국인도 국내에서 특허출원을 할 수 있나요?
외국인은 단독으로 특허출원을 할 수 없고, 국내에 주소가 있는 특허관리인을 통해 특허출원이 가능합니다.
특허심사 후 거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보통 특허거절 통지를 받는 이유는 특허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권리범위 설정 중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입니다. 특히 진보성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거절될 때가 많은데요, 새로운 기술이더라도 동종업계 종사자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이어서는 안됩니다.
특허거절 통지를 받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특허 거절 이유를 확인하고 의견서나 보정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되는데요, 이 때는 법무법인 대륜 지식재산권그룹 변호사의 도움을 받으면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